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치매대상자는 같은 증상을 보이더라도 치매대상자가 살아온 인생경험과 주위를 둘러싼 여러 가지 환경에 의해 그 의미가 다르고 처한 상황이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치료의 필요성과 원인을 파악하는 데에도 개별성이 요구되며 치매대상자의 증상을 개별적으로 접근해 그 의미를 파악하여야 한다.

     

    정신행동증상 발생 시 일반적 원칙

    정신행동증상은 BPSD(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ton of Dementia)라고도 하며 치매환자의 90% 이상에게서 나타나는 정신과 행동의 이상증상이다. 치매가 발현되기 이전과는 매우 다르고 예측불가능한 모습으로 인해 보호자와 가족 그리고 치매대상자 모두 큰 혼란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치매대상자의 인지능력과 대처능력의 저하와 함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물리적 환경과 시간적 환경 개선, 감각기관의 기능 향상, 영양 상태확인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정신행동 증상의 환경적 개입이 필요하다. 정신행동증상이 발생되어 이에 대처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할 때는 고려해야 할 일반적인 원칙이 있다. 원칙의 1단계는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2단계는 개인적 특성, 신체적 요구 상태, 정신적 요구 상태, 환경적 요구 상태, 다른 정신 행동 증상등을 비롯한 원인을 파악하기, 3단계는 적절한 대처방법을 적용하기, 4단계는 효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기이다. 돌봄제공자는 이 4단계의 원칙에 입각하여 치매대상자를 파악하고 적절한 개입계획을 세우고 실행하여 치매대상자가 삶의 질을 최대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경증 치매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대처방법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대처방법도 다른 돌봄서비스와 같이 경증과 중증도의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먼저 경증 대상자의 경우를 다루어 본다. 치매대상자가 기억력 저하 증상을 보이는 경우 돌봄 제공자는 기억력이 저하된 부분에 대한 자세하고 직접적인 질문을 하거나 논리적으로 직면시키지 않는다. 집중력이 감퇴된 경우에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주고 적절한 자극에 대하여 반응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남아있는 집중력을 증가시킨다. 지남력이 감퇴된 경우 주변에 시계, 달력, 구름이나 해처럼 날씨가 도식화된 판, 계절과일, 그림 등을 배치하고, 칠판, 메모장, 기타 기억보조도구들을 이용하여 지남력을 자극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우울증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우울증상을 보이는 환경을 먼저 파악하여 환경적인 요인을 조절해 주도록 한다. 무감동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활동에 참여시켜 정신 활동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활동 수행 시 수행도가 좋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다시 시도해 보는데,, 여러 격려나 시도에도 불구하고 치매대상자가 반복해서 좌절하면 활동을 중단하거나 변경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하여 약물치료를 고려하기도 한다. 그밖에 불안 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매대상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있음을 공감하고 표현해 준다..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하고 항불안제를 처방받도록 권고한다.

     

    중고도 치매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대처방법

    중고도 치매대상자의 정신행동 증상은 망상과 의심, 환각, 초조, 배회, 공격성, 반복행동, 불면과 같은 수면장애, 거부와 저항, 뒤적거리기와 모아두기, 일몰증후군, 부적절한 성적 행동, 부적절한 식사 행동, 비정상적인 배설 행동 등이 있다. 이러한 치매대상자를 대할 때는 보호자에게서 얻은 정보와 관찰을 통해 증상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여 확인한 후 대처해야 한다.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치매대상자를 비난하거나 훈계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어떠한 사건이 있을 때는 되도록 침착하게 행동하고 마치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행동하여 치매대상자가 불안해하지 않게 한다. 치매대상자와의 논쟁을 삼가고 눈높이를 맞추어서 대화하며, 치매대상자가 익숙하고 좋아하는 것들 중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반응형